☆ 홀리스틱 교육은 학생과 교사간의 관계를 보는 한 방식이다. 홀리스틱적 접근은 마치 총체적 언어(whole language) 방법이 언어교과(language arts)의 철학과 스타일과 관련이 있듯이 교육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홀리스틱적 접근 방법은 사회적, 심리적,과학적,정신적,예술적,교육적인 것을 포함한 삶의 다양한 측면을 총망라하고 있다.
☆ 홀리스틱 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
이제까지 홀리스틱 교육과정을 정의할 때,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본성을 실현시키기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서 연계와 관계를 강조했다. 이러한 것은 기존에 알려진 아동중심 교육과정에서도 일치하는 점이 많이 있다. 예컨대 프로젝트를 활용한 교육과정에서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와 호기심 유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홀리스틱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의 교육과정과 다른 점은 바로 아동들의 영성(spirituality)에 대한 강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홀리스틱 교육과정은 독일의 Steiner의 이론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Steiner의 모델은 지적, 신체적, 정서적, 영혼적 성장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홀리스틱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모델에는 은유, 시각화, 홀리스틱적 사고 등이 이용된다. 그 중의 하나인 시각화(visualization)를 예로 들어볼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홀리스틱 교육과정 문헌과 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어느 특정한 기술(technique)이거나 교육과정 (curriculum)이 아니다. 홀리스틱 교육은 다음과 같은 全人의 계발에 역점을 둔다.
① 전뇌학습(whole-brain learning)
②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③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④ 맥락학습(contextual learning)과 내용(content)보다 과정(process)의 중시
⑤ 통합교육과정(integrative curriculum)과 간학문적 지식(interdisciplinary knowledge)
⑥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⑦ 전체 시스템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whole system)
⑧ 다차원적(multi-dimensional)인 앎의 방법: 직관적 지식(intuitive knowledge)
따라서 홀리스틱 교육은 어느 한 가지 이론 혹은 개념에만 국한하지 않고 균형, 통합, 연계라는 비유와 틀로 설명될 수 있다.
인천대학교 김복영 교수님의 논문